옛날에 한 선비가 살았습니다. 이 선비의 머릿속에는 온통 과거시험에 대한 생각뿐이었습니다. 사실 이 선비는 과거시험만 벌써 일곱 번째 떨어지고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여덟 번째 과거길에 오르는 것입니다. 선비의 꿈은 장원급제를 하여 어여쁜 색시를 얻어 부모님께 효도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매번 낙방을 하고 말아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부모님께 절을 하고 무거운 마음으로 길을 나섰습니다.
하염없이 걷고 또 걸어 문경쯤에 다다랐을 때였습니다. 다리도 아프고 목도 축이려고 주변을 살피었지요. 때마침 한 주막이 보이는 것이었습니다. 반가운 마음에 얼른 달려갔지요. 그런데 매번 한양으로 갈 때 이 길을 지났는데 그 동안에는 한 번도 본적이 없는 주막이었습니다. 이상한 느낌이 들었으나 몸이 피곤하여 급히 따끈한 국밥 한 그릇과 탁주 한 사발을 시켰습니다. 며칠 동안 걷느라 지친 몸에 국밥 한 숟갈 들어가니 피로가 다 풀리는 것 같았습니다. 그렇게 배가 부르고 몸을 추스르니 보니 이 주막이 더욱 신비롭게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주모를 불러 이 주막을 불러 물어보려고 하였지요.
"이보시오, 주모. 내 이 길을 벌써 여덟 번째 지나는 것인데. 이 길을 지나면서 단 한 번도 이 주막을 본적이 없다네. 이 주막은 언제 생긴 것이오?”
“아이고, 이 주막이 언제 생긴 것이 무에 중요하겠습니까. 그저 이번에는 장원급제를 하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이 주막을 들른 사람 중에 과거시험에 떨어진 사람이 없다는 소문은 들으셨답니까?”
“그것이 사실이오? 아니면 나에게 농을 하는 것이오?”
“어찌 감히 농을 할 수 있겠습니까? 이것은 선비님께만 알려드리는 비밀이니 이번 시험에는 꼭 장원급제 하십시오.”
그렇게 선비는 주모가 알려준 대로 서둘러 길을 나섰습니다.
주모는 이 주막을 지나면 얼마 지나지 않아 큰 나무에 앉아있는 노란머리의 새가 이끄는 길로 가라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면 장원급제를 할 수 있다고 하였지요. 그렇게 선비는 의심 반 믿음 반의 마음으로 큰 나무가 있는 쪽으로 달려갔습니다. 그런데 정말 큰 나뭇가지 위에 노란머리의 새가 앉아있는 것이었지요. 선비가 놀라 크게 소리를 내자 노란머리새는 날아오르더니 천천히 낮게 날아 마치 길을 안내하는 것 같았습니다. 선비는 신비로운 마음에 노란 새가 이끄는 곳을 따라 갔지요. 그런데 이 길은 선비가 매번 시험을 보러 가는 길이 아닌 새로운 길이었습니다. 선비는 의심스런 마음이 들었지만 주모를 믿어보기로 하였습니다. 그렇게 새로운 길로 가는 길은 경사가 높고 길이 험준하였습니다. 이렇게 흙을 밟으며 험한 길을 오르던 선비는 그동안 보지 못한 자연경관은 물론이고 천한 상민들의 고달픈 삶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는 특별한 비책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그저 그 주모의 취기어린 한 마디에 우연으로 만난 새를 따라 온 것쯤이라고 생각하였지요.
그렇게 한양에 다다른 선비는 마음을 다잡고 시험지를 받아보았습니다. 그런데 시험의 문제가 새를 따라 걸어온 길에서 보고 들은 상민들의 삶에 대한 것을 서술하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선비라면 마땅히 이 나라 백성들의 성품과 삶을 두루 알고 있어야 한다는 주제였습니다. 선비는 당황하였지만 그 어느 때보다 자신 있고 당당하게 생각을 써내려갔지요. 시험을 마친 그는 곧 장원급제를 하였고 고맙고 신기한 마음에 당장 그 주막을 찾아 고마움을 전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똑같은 자리에 그 주막은 없었습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 큰 돌 하나만이 놓여있었지요. 이 신기한 이야기가 입에 입을 타고 소문이 나 과거를 준비하던 선비들은 모두 새도 쉬어간다는 이 길을 통하여 과거시험을 보러갔고, 이 길을 통해 시험을 보던 선비들은 줄줄이 시험에 합격하였다는 이야기가 지금도 전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