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사람들은 마을 대신 ‘마실’이란 말을 쓰곤 했다. 할머니가 ‘나 마실 나갔다 오마’ 하면, 그 말은 이웃집에 가서 두어 시간 담소를 나누고 온다는 뜻이었다. 이 말은 지금도 충청도, 경상도 등에서 사투리로 쓰이고 있기도 하다. 놀러 다녀온다는 말보다는 여러모로 정감있는 말이다. 이러한 ‘마실’을 테마로 한 길이 전북 김제시에 있다. 바로 김제 모악산 마실길이다. KTX 전라선이 놓인 이래, 서울에서 김제까지는 빠르면 2시간 남짓. 수도권 주민들도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으니, 마실은 마실이다. 모악산 마실길, 어떤 코스로 돼 있으며 이곳에서만 볼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어머니의 산’ 모악산에 난 마실길
모악산의 ‘모’자는 ‘어미 모(母)’자를 쓴다. 산꼭대기에 있는 바위가, 아이를 품은 어머니처럼 생겼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모악산 마실길은 전주, 완주, 김제에 걸쳐 있는데 그중 김제시에 속하는 구간은 2개의 코스이다. 바로 1, 2 코스. 그중 1코스는 21km, 2코스는 13km로 각각 이십 리, 십 리 남짓한 길이다. 1코스는 귀신사~싸리재~남강정사~금평저수지~금산사~배재(완주 경계) 코스, 2코스는 금산사 주차장~귀신사~금산사 주차장 순환 코스다.
금산사 벚꽃나무 아래 역사를 생각하다
1400년 고찰 금산사는 봄이면 벚꽃이 흐드러진다.
모악산 마실길의 가장 큰 볼거리는 금산사다. 백제 법왕 1년(599)에 창건되었으니, 그 역사만 1400년이 넘는다. 혹시 후백제의 견훤이 금산사에 유폐됐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신라 말 후백제 때 견훤은 자신을 견제하는 아들에 의해 금산사에 감금됐다. 비록 견훤 자신의 지략으로 탈출에 성공, 고려 왕건에게 귀순하였으나 한 나라의 왕이 유폐된 장소라는 역사적 사실을 떠올리자니 애잔하다.
그런 금산사가 가장 보기 좋은 계절이 봄이다. 절 마당 앞에 심어진 벚꽃이 흐드러지고 바람이 불면 벚꽃이 비처럼 흩뿌린다. 이토록 아름다운 금산사는 그러나 견훤의 역사 외에도 많은 ‘아픈 역사’를 갖고 있다. 임진왜란 때 승병이 이곳에서 대거 봉기하자, 이를 괘씸히 여긴 왜(倭)가 금산사를 불태운 것. 이후 금산사는 조선 인조 13년(1635)이 돼서야 일부 재건됐다.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금산사 용명 스님이, 이곳의 가람을 빼앗으려는 일제의 야욕에 맞서 싸우다 순교하기도 했다.
금평저수지 따라 느릿느릿 걸으면
1
2
1
귀신사 초입에는 글귀 적힌 기와가 놓여 있다.2
모악산 마실길 1코스는 금평저수지 데크길을 포함한다.완주 방향에서 시작한 모악산 마실길 1코스는 금산사를 지나 바로 금평저수지로 이어진다. 이 구간은 총연장 약 3km. 성인 걸음으로 한 시간 정도 걸리는 구간이다. 금산사에서 아쉬움이 남는다면, 귀신사로 가보자. 그리고 절 초입을 유심히 보자. 마음에 와 닿는 글귀가 적힌 기와들이 곳곳에 놓여 있다.
금산사를 벗어나면 금평저수지다. 금평(金坪)저수지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 김제평야 농업용수 제공을 위해 축조된 저수지다. 모악산에서 솟은 물이 이곳으로 흘러드는데, 예부터 오리가 많다 하여 ‘오리알터’라 불리기도 했다. 오늘날 모악산 마실길이 생기면서 이곳에는 나무데크로 된 산책로가 생겼다. 이곳이 바로 모악산 마실길 구간의 일부다. 수면에 닿을 듯 단정하게 지어진 데크 길을 천천히 걷다 보면 저절로 느려지는 마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산수와 사찰이 있는 김제 모악산 마실길, 천천히 걸으며 삶의 템포를 늦춰보는 건 어떨까요. 트래블아이가 추천하는 모악산 마실길 최고의 코스는 어디인가요?
글 트래블투데이 이나래 취재기자
발행2015년 03월 04 일자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테마리스트 페이지 버튼 테마별 기사리스트 페이지로 이동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