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전남 장성군은 허균의 소설 속 의적 홍길동의 고장으로 이름나 있다. 아치실 마을에 있는 홍길동테마파크에 방문하면 홍길동 생가, 전시관을 통해 소설 속에서만 보았던 홍길동의 숨결을 몸소 느낄 수 있다. 테마파크에 가는 도중에는 필암서원이 위치해 있으니 함께 둘러보자. 마지막은 요월정원림에서 마무리하면 된다.
총거리
8.53 km
이순신대교는 국내에서 가장 긴 주각 간 거리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45m의 주각 사이 거리는 충무공 이순신의 탄생해인 1545년을 상징한다. 대교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담을 수 있는 포토존은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이순신대교는 국내에서 가장 긴 주각 간 거리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1545m의 주각 사이 거리는 충무공 이순신의 탄생해인 1545년을 상징한다. 대교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담을 수 있는 포토존은 관광명소로 주목받고 있다.
주소전라남도 광양시 금호동 792
연락처061-807-2020
김시식지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김을 양식했던 김여익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유지이다. 1714년 광양현감 허담이 김여익을 추모하고 그의 업적을 기린 비문을 짓고 비석을 세웠다고 전해지나 현재 비석은 사라지고 비문만이 남아있다.
김시식지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김을 양식했던 김여익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유지이다. 1714년 광양현감 허담이 김여익을 추모하고 그의 업적을 기린 비문을 짓고 비석을 세웠다고 전해지나 현재 비석은 사라지고 비문만이 남아있다.
주소전라남도 광양시 김시식지1길 57-6
연락처061-797-2363 (광양시 문화홍보실)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은 윤동주 시인의 친필 원고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보존돼 있는 곳이다. 1941년 해당 시집을 발간하려다 실패한 윤동주가 일본으로 가기 전 정병욱에게 원고를 맡겼던 것으로 전해진다.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은 윤동주 시인의 친필 원고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보존돼 있는 곳이다. 1941년 해당 시집을 발간하려다 실패한 윤동주가 일본으로 가기 전 정병욱에게 원고를 맡겼던 것으로 전해진다.
주소전라남도 광양시 진월면 망덕길 249
연락처061-797-2731(광양시청)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