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은 음식에 담긴 이야기의 가치가 매우 빛나는 고장이다. 그중 헛제삿밥은 흔히 쓰이는 고추장 대신 조선간장으로 맛을 내는 비빔밥이다. 먼저 고기와 무를 끓인 탕국에 산적, 돔배기(상어) 고기, 약간의 전 등과 갖은 나물이 함께 나온다. 제사음식답게 고춧가루, 마늘, 파 등의 강한 양념과 향신료 대신 소금, 간장, 깨, 참기름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음식의 색깔이나 맛이 은은하다. 이 헛제삿밥, 안동의 별미 중 하나이니 안동시를 찾았을 때에는 꼭 헛제삿밥을 맛보기를 권한다. 소박하고도 정갈한 그 모양새와 그 안에 담긴 이야기가 '선비의 고장' 안동과 똑 닮아 있으니 말이다.
헛제삿밥, 선비의 이야기를 담다
흔히들 헛제삿밥이 ‘맛난 음식을 먹은 양반들이 체면 때문에 제사를 핑계로 만든 음식’이라는 정도로 알고 있지만, 유래에 대한 확실한 정설은 없다. 보통은 밥과 음식이 부족했기에 조선시대에 살던 일부 양반들이 드러내 놓고 쌀밥을 먹기가 미안스러워서, 제사음식을 차리고 제문을 지어 올려 허투루 제사를 지낸 다음에 음식을 나눠 먹은 것이 기원이라는 설이 설득력이 있다. 혹은 글을 읽던 안동 유생들이 야심한 밤에 속이 출출해지면 하인들에게 제사를 지내야 한다고 장난기 어린 거짓말로 ‘헛제삿상’을 차리게 했는데, 제사는 지내지 않고 제삿밥만 나누어 먹는 것을 보고 하인들이 이를 헛제삿밥이라 이름 붙였다는 등 현지에는 다양한 유래가 구전되고 있다.
안동 헛제삿밥을 조상들의 ‘나눔 정신의 실천’이라고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유달리 서원이 많은 안동에서 여러 가지 모임이 자주 열렸는데, 그때마다 인근에 사는 많은 유림과 유생들이 서원에 모여들었다. 이때 정성스레 준비한 제수를 상하 구분 없이 지역민들이 골고루 나누어 먹으며 공동체 의식을 다지도록 정리된 음식문화의 형태라는 것이다. 기원이야 어쨌든 헛제삿밥은 안동을 중심으로 하는 경북내륙지방의 제사 문화가 고스란히 녹아 들어있는 유산이다.
하지만 아무리 유서와 의미가 깊은 음식이라도 맛이 없으면 유명세를 타지 못한다. 안동의 헛제삿밥이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것은 맛이 있기 때문. 헛제삿밥이 다른 지역의 비빔밥이나 남은 음식을 한데 비비는 골동반 등의 비빔 요리와 차별화된 명성을 얻은 것은 고추, 마늘, 파, 달래, 부추 등 이른바 ‘오신채’를 배제하고, 참기름과 깨소금으로 맛을 낸 조선간장을 간을 해서 담백하면서도 구수한 식재료의 맛을 살렸기 때문이다. 여기에 맑게 끓여내는 제사용 탕국은 깔끔한 맛으로 헛제삿밥 맛의 깊이를 더한다.
헛제삿밥, 조금 더 자세히 들여다 볼까?
1
2
현재의 안동 헛제삿밥은 고사리, 도라지, 콩나물, 무나물, 콩나물, 숙주나물, 토란, 묵나물 등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다른 예닐곱 가지의 채소를 따듯한 밥에 얹어 놋그릇에 담아낸다. 여기에 간고등어, 녹두전, 명태찜, 두부 부침 등이 기본 반찬으로 딸려 나와 제사음식의 분위기를 더한다. 식사 후 입가심으로 나오는 안동 식혜도 헛제삿밥의 명성을 높이는 데 일조했다.
찹쌀 고두밥에 무채, 밤채, 생강채를 잘게 썰어 넣고 고춧가루로 버무린 다음에 엿기름을 붓고 따뜻한 데서 발효시켜 만든다. 식혜 특유의 달달한 맛에 무, 생강, 고춧가루가 매콤한 맛이 어울려 톡 쏘는 듯한 느낌이 드는데, 동치미랑 비슷하면서도 오묘한 차이가 있다. 무 성분이 소화를 돕고 입안을 깔끔하게 정리해서 디저트로 적격이다.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헛제삿밥은 매우 가치가 높은 음식이다. 구성 재료들이 각 영양소별로 골고루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다량의 채소 즉 갖은 나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단백질, 칼슘, 칼륨, 인 등의 무기질과 섬유질이 풍부한 식품이다. 여기에 간고등어와 돔배기 등은 단백질 공급원인 동시에 생선 특유의 유익한 지방산도 포함하고 있다. 자극적인 양념이 없어서 나트륨 섭취도 줄일 수 있고, 찌거나 삶는 조리법은 다이어트에도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헛제삿밥의 레시피를 표준화해서 세계화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헛제삿밥과 함께 버무려진 안동의 전통과 유교문화, 나눔의 정 역시 널리 퍼지며 수백 년의 세월을 넘어 그 가치를 확인하는 기회를 맞을 것이다.
[트래블스테이] 온계종택
5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종갓집, 온계종택! 이곳은 오랜 역사만큼이나 우리의 전통문화와 선비정신이 곳곳에 깃들어 있습니다. 퇴계 이황의 형인 온계 이해 선생이 살던 종택으로 온계 12대손이였던 이인화의 의병활동 당시 이곳을 의병소로 사용했다는 이유로 1896년 소실, 2005년 복원된 곳이기도 합니다. 아주 옛스러운 멋은 덜하지만 온계종택만의 고풍스러운 분위기는 방문한 이에게 특별한 하룻밤을 선사할 것입니다~^^
상품 보러 가기
글 트래블투데이 홍성규 취재기자
발행2018년 10월 08 일자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
테마리스트 페이지 버튼 테마별 기사리스트 페이지로 이동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