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부원군 서종제의 딸로 1692년 태어난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1692~1757년)는 조선 역대 임금 중 최장 재위기간을 자랑하는 조선 제21대 임금 영조의 원비(元妃)이다. 1704년 영잉군 영조와 혼인한 그녀는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왕비가 되었다. 정성왕후의 나이 33세, 영조는 31세였다. 정성왕후는 어릴 적부터 너그러운 성품을 가졌으며, 게으른 빛이 없이 늘 웃는 얼굴이었다고 한다. 영조의 오랜 재위기간만큼 그녀 역시 40년이 넘는 오랜 세월(세자빈 1721~1724년, 왕비 1724~1757년)을 궁에서 보냈지만, 영조와 정성왕후 사이의 소생은 없었다. 대신, 그녀는 후궁 영빈 이씨의 소생인 사도세자(장헌세자, 장조)를 매우 아끼고 사도세자 역시 그녀에게 극진히 효도했다고 한다. 사도세자와 영조의 삐걱거리던 관계를 중재하기 위해 늘 노심초사했던 정성왕후는 1757년 창덕궁에서 66세로 생을 마감한다.
영조는 왜 그녀를 멀리했을까?
정성왕후는 영조의 원비였음에도 불구하고 원자를 낳지 못했다. 세자빈 시절까지 포함하면 궁에서만 40년 넘게 지낸 그녀이기에 이상하게 여겨질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하여 전해지는 일화는 이렇다. 영조가 세자 시절 정성왕후를 세자빈으로 맞아 첫날밤을 보내는데, 하얗고 고운 정성왕후의 손을 보고 어찌 이리 손이 고운가하고 물어보니 정성왕후는 어려서부터 손에 물을 묻힌 적이 없고 고생을 하지 않아 그렇다고 대답했다 한다. 이 말을 들은 영조는 자신의 친모인 숙빈 최씨를 업신여긴 것으로 보고 다시는 정성왕후를 찾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참고로 숙빈 최씨는 숙종의 후궁으로 처음에 무수리로 궁에 들어왔다가 승은을 입어 영조를 낳았다.
이런 일화뿐만 아니라 정성왕후가 평생 영조에게 사랑을 받지 못한 이유는 정조 때 혜경궁 홍씨가 지은 《한중록》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1752년 12월 정성왕후는 환갑을 맞이했는데 영조는 이때 후궁 문씨의 처벌 문제를 두고 대왕대비인 인원왕후와 대립해 전위 소동을 부리며, 그녀의 환갑잔치 이야기는 꺼내지도 못할 분위기를 만들었다. 예나 지금이나 인생에서 가장 큰 경축일인 환갑을 맞이했어도 조용히 보내야 했던 정성왕후다. 정성왕후가 세상을 떠날 땐 더욱 가관이다. 1757년 정성왕후의 병세가 몹시 위중했는데도 영조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오지 않았다. 정성왕후가 거의 죽게 되자 그제 서야 찾아와서는 아내의 병세는 돌볼 생각은 안 하고 곁에서 정성왕후를 보필하던 사도세자의 흐트러진 옷매무새만 꾸짖었다고 한다. 정성왕후가 그렇게 세상을 떠난 후 공교롭게도 영조가 가장 아끼던 딸 화완옹주의 남편 정치달이 죽었다는 소식이 들리자 신하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곁을 떠나려 한다. 아내이자 한 나라의 왕비가 죽었는데 사위의 집으로 가려 했다는 것이다.
물론 이런 영조와 정성왕후의 소원했던 관계를 설명해주는 많은 일화를 그대로 믿기에는 무리가 있다. 오히려 실록에는 영조가 정성왕후의 장례에 꽤 신경을 쓴 기록도 있으며, 영조가 행장에 적은 내용에는 그녀에 대한 애틋한 마음도 읽을 수 있으니 도대체 왜 영조와 정성왕후의 관계가 그리 소원했는지 오늘날 정확한 이유를 찾기란 쉽지 않다. 다음은 영조가 장례에 관여했던 실록의 기록이다. 임금이 친히 정성 왕후(貞聖王后)의 명정(銘旌)을 쓰고, 또 친히 대행 대왕대비 재궁(梓宮)에 상(上)자를 썼다. 재궁에 옻칠하게 하였는데, 모두 25차례 하고 마쳤다. <영조 89권, 33년(1757년 6월 1일)>
영조는 생전에 정신적으로 이상한 행동을 보인 임금으로 유명하다. 출생에 대한 콤플렉스와 당쟁의 바람이 거세게 불던 시기에 즉위한 그가 받았을 정신적 스트레스는 적지 않았을 것이고 그로 인해 정성왕후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이란 추측만이 가능할 뿐이다.
[트래블아이 왕릉 체크포인트]
숙종의 명릉, 추존왕 덕종의 경릉(敬陵), 인경왕후의 익릉, 예종의 창릉과 함께 서오릉 내에 위치한 홍릉(弘陵)은 영조의 원비(元妃)였으나 평생 홀로 지냈던 그녀의 생애를 대변하듯 단릉 형태로 조영되어 있다. 영조는 자신보다 먼저 세상을 떠난 인경왕후 옆에 묻히기를 원했다고 하나 정작 그는 동구릉 내 원릉에 정순왕후와 함께 있다. 살아생전에도 그녀를 홀로 두더니 죽어서까지 홀로 잠들게 만든 셈이다. 지금도 영조의 자리는 그대로 비워져 있으며 석물만 쌍릉 형식으로 조영되어 정순왕후의 옆을 더 허전하게 만들고 있다.
능의 제도는 기본적으로 인현왕후(仁顯王后)의 능인 명릉(明陵)의 양식을 따랐으며 《속오례의》의 제도가 잘 반영되어 있다. 서오릉의 매표소에서 홍릉으로 향하다보면 생전에 정성왕후가 아꼈던 사도세자의 생모인 영빈 이씨의 묘 수경원를 지나친다. 정성왕후와 사도세자는 서로 피를 나눈 사이가 아님에도 애틋한 사이였던 반면 친모인 영빈 이씨는 사도세자가 폐위되는 상황에서도 크게 동요하지 않았다고 하니 이것 또한 참 아이러니다. 홍릉으로 향하기 전 수경원에 들러 왕비릉과 후궁의 묘의 조영 형태를 비교하며 둘러보면 더 좋을 듯하다.
[여행선물] 마이어스 도자기자석
우리나라의 아름다움이 오롯이 담겨져 있는 전통의 미. 심플하고! 가볍고! 저렴한 가격까지?! 새하얀 백자는 물론, 그 위에 그려진 푸른빛의 그림까지도 100% 핸드메이드! ‘마이어스 도자기 자석' 트래블아울렛 MD가 적극 추천합니다~^^
상품 보러 가기
글 트래블투데이 편집국
발행2015년 07월 17 일자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
참여한 트래블파트너가 없습니다.
참여한 주재기자가 없습니다.
참여한 파워리포터가 없습니다.
참여한 한줄리포터가 없습니다.
테마리스트 페이지 버튼 테마별 기사리스트 페이지로 이동
테마리스트 해당기사와 같은 테마기사 리스트
테마리스트 바로가기 버튼 테마별 리스트 정보제공
핫마크 콘텐츠에 대한 중요도 정보
콘텐츠호감도
콘텐츠들에 대한
트래블피플의 반응도
사용방법 안내버튼 설명 페이지 활성화
함께하는 트래블피플
트래블파트너, 슈퍼라이터,
파워리포터, 한줄리포터로 구성된 트래블피플
스크랩
마이페이지
스크랩 내역에 저장
해당기사에 대한 참여
추가정보나 사진제공,
오탈자 등 건의